2011년 7월 26일 화요일
2011년 5월 26일 목요일
2011년 4월 29일 금요일
Parallels.Desktop.v6.0.11822.MAC.OSX-HOTiSO
http://thepiratebay.org/torrent/5832546/Parallels.Desktop.v6.0.11822.MAC.OSX-HOTiSO
2011년 4월 15일 금요일
x86 osx image 다운로드 관련 (해킨토시 설치이미지, 설치파일)
출처 : http://teriyam.tistory.com/entry/x86osx-tip-x86-os-x-image해킨토시-설치이미지-설치파일-다운로드-관련
http://blog.naver.com/netid?Redirect=Log&logNo=40063230163
안녕하세요. 제 블로그에 해킨토시 관련하여 많은분들이 방문하시는것 같아서
현재 토렌트에서 그남아 받기 쉬운것들을 다시 정리하여 링크합니다.
파일은 모두 토렌트(torrent) 파일입니다. 기존의 당나귀나 p2p처럼 그 파일을 링크해주는 역할을 하는 파일입니다.
토렌트 다운로드 유틸리티가 있으셔야 합니다. 예로 아래 2개 간단히 링크합니다.
1-1.azureus
http://azureus.sourceforge.net/
이 녀석은 파랑색 개구리 모양의 아이콘으로 유명하죠? 하지만 JVM이 설치되어야 합니다. 물론 설치후에 링크가 나타나니 미리 받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나름 고급 기능과 플러그인등이 있고 기존 사용자 역시 많습니다.
1-2.utorrent
http://www.utorrent.com/
한글도 지원하며 위에 녀석에 비해 매우 가볍습니다. 초보자에게 매우 적합하며, 작은 용량에 비해 큰 기쁨을 줄 녀석이죠.
토렌트 소개는 간단히 마치며 요즘 많이 받고 있어서 받기 용이한 토렌트 파일을 링크해 드릴께요.
2-1. Kalyway_10.4.10_IntelSSE3_V1.1_AMD_amp_SSE2_Patch_fixes.torrent
가장 최근에 나온 10.4.10 버전중 받기 제일 용이해 보여 선택하였습니다.
파일명에 나타나 있듯이 인텔과 AMD모두 지원합니다만, 아직 설치가 아래 2개의 버전에 비해 그리 용이하지는 않습니다.
2-2. Mac_OS_X_10_4_9_Intel_SSE3_[JaS_10_4_8_AMD_Intel_SSE2_SSE3_with_PPF1_PPF2_iso_JaS_10_4_9_Combo_Update_Intel_SSE3_zip].torrent
예전부터 사랑받던 Jas의 10.4.9 버전으로 현재 가장 받기 쉬운 이미지입니다.
인텔과 AMD모두 지원하며, 10.4.8만큼이나 설치에 사양을 그남아 덜타는 버전입니다. 즉 설치가 그남아 잘 된다는 이야기겠지요.
2-3. JaS_Mac_OS_X_10_4_8_AMD_Intel_SSE2_SSE3_PPF_1_Defiant_diskutil_biker880_ich7_R_patch_Integrated.torrent
역시 모두 양쪽 모두 지원하며, 10.4.9와 더블어, 현재 가장 많은분이 설치에 성공한 버전으로, 위 버전들중 성공률이 가장 높다고 보여지는 이미지입니다.
설치 관련 가이드는 설치가이드 처음와 설치가이드 두번째 링크되어 있으니 자신의 사양이 위키리스트에 지원하는지를 미리 확인하시고, 설치에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윈도우 시스템이나, 파티션, 하드, CMOS, 듀얼부팅, 윈도우 포맷등을 잘 알지 못한다면 도전을 삼가하시는게, 정신건강이나 여러모로 도움이 됩니다.
</SCRIPT>
http://blog.naver.com/netid?Redirect=Log&logNo=40063230163
안녕하세요. 제 블로그에 해킨토시 관련하여 많은분들이 방문하시는것 같아서
현재 토렌트에서 그남아 받기 쉬운것들을 다시 정리하여 링크합니다.
파일은 모두 토렌트(torrent) 파일입니다. 기존의 당나귀나 p2p처럼 그 파일을 링크해주는 역할을 하는 파일입니다.
토렌트 다운로드 유틸리티가 있으셔야 합니다. 예로 아래 2개 간단히 링크합니다.
- 1.토렌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토렌트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1-1.azureus
http://azureus.sourceforge.net/
이 녀석은 파랑색 개구리 모양의 아이콘으로 유명하죠? 하지만 JVM이 설치되어야 합니다. 물론 설치후에 링크가 나타나니 미리 받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나름 고급 기능과 플러그인등이 있고 기존 사용자 역시 많습니다.
1-2.utorrent
http://www.utorrent.com/
한글도 지원하며 위에 녀석에 비해 매우 가볍습니다. 초보자에게 매우 적합하며, 작은 용량에 비해 큰 기쁨을 줄 녀석이죠.
토렌트 소개는 간단히 마치며 요즘 많이 받고 있어서 받기 용이한 토렌트 파일을 링크해 드릴께요.
- 2.x86osx용 버전별 토렌트 이미지
2-1. Kalyway_10.4.10_IntelSSE3_V1.1_AMD_amp_SSE2_Patch_fixes.torrent
가장 최근에 나온 10.4.10 버전중 받기 제일 용이해 보여 선택하였습니다.
파일명에 나타나 있듯이 인텔과 AMD모두 지원합니다만, 아직 설치가 아래 2개의 버전에 비해 그리 용이하지는 않습니다.
2-2. Mac_OS_X_10_4_9_Intel_SSE3_[JaS_10_4_8_AMD_Intel_SSE2_SSE3_with_PPF1_PPF2_iso_JaS_10_4_9_Combo_Update_Intel_SSE3_zip].torrent
예전부터 사랑받던 Jas의 10.4.9 버전으로 현재 가장 받기 쉬운 이미지입니다.
인텔과 AMD모두 지원하며, 10.4.8만큼이나 설치에 사양을 그남아 덜타는 버전입니다. 즉 설치가 그남아 잘 된다는 이야기겠지요.
2-3. JaS_Mac_OS_X_10_4_8_AMD_Intel_SSE2_SSE3_PPF_1_Defiant_diskutil_biker880_ich7_R_patch_Integrated.torrent
역시 모두 양쪽 모두 지원하며, 10.4.9와 더블어, 현재 가장 많은분이 설치에 성공한 버전으로, 위 버전들중 성공률이 가장 높다고 보여지는 이미지입니다.
설치 관련 가이드는 설치가이드 처음와 설치가이드 두번째 링크되어 있으니 자신의 사양이 위키리스트에 지원하는지를 미리 확인하시고, 설치에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윈도우 시스템이나, 파티션, 하드, CMOS, 듀얼부팅, 윈도우 포맷등을 잘 알지 못한다면 도전을 삼가하시는게, 정신건강이나 여러모로 도움이 됩니다.
</SCRIPT>
2011년 4월 12일 화요일
2011년 4월 10일 일요일
맥에서 NTFS 읽고 쓰는방법 중의 한가지
sudo mv /sbin/mount_ntfs /sbin/mount_ntfs.orig
sudo nano /sbin/mount_ntfs
#!/bin/sh
/sbin/mount_ntfs.orig -o rw "$@"
(press Enter, Ctrl-O, Enter, Ctrl-X in sequence)
sudo chown root:wheel /sbin/mount_ntfs
sudo chmod 755 /sbin/mount_ntfs
reboot
================================================================
복구 방법
sudo rm -f /sbin/mount_ntfs
sudo mv /sbin/mount_ntfs.orig /sbin/mount_ntfs
sudo chown root:wheel /sbin/mount_ntfs
sudo chmod 755 /sbin/mount_ntfs
reboot
sudo nano /sbin/mount_ntfs
#!/bin/sh
/sbin/mount_ntfs.orig -o rw "$@"
(press Enter, Ctrl-O, Enter, Ctrl-X in sequence)
sudo chown root:wheel /sbin/mount_ntfs
sudo chmod 755 /sbin/mount_ntfs
reboot
================================================================
복구 방법
sudo rm -f /sbin/mount_ntfs
sudo mv /sbin/mount_ntfs.orig /sbin/mount_ntfs
sudo chown root:wheel /sbin/mount_ntfs
sudo chmod 755 /sbin/mount_ntfs
reboot
2011년 4월 9일 토요일
OS X 파인더에서 전체경로 표시하기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혹시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한 사용팁 하나 올려봅니다.
(사이트 어딘가에도 올라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요..)
경로가 길어져서 위치를 확인하고 싶을 때, 윈도우 탐색기에서는 상단에 전체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편리했는데 왜 파인더에서는 그런 기능이 없을까 하고 찾던 중에 발견한 팁입니다. (OS X에도 역시 없을리가 없었다는.. ^^)
물론, 유료 프로그램 중에 Path Finder 같은, 기능이 훌륭한 유틸이 있기는 하지만요.. ^^;
터미널을 여시고,
하신 후에,
하시면 파인더가 재실행되면서 상단에 제목줄이 전체경로로 바뀌어 나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sudo 명령어를 쓰면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는 겁니다. (root 파인더 설정이 변경되는 것임)
위의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의 권한으로 실행을 하시면 바로 변경된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난 본래의 파인더가 더 좋아.." 하시는 분은 다음 명령어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데, 안되셨으면 어떡하죠? 날씨도 더운데.. ㅋ
P.S 더운 날씨에 건강조심하세요.
(사이트 어딘가에도 올라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요..)
경로가 길어져서 위치를 확인하고 싶을 때, 윈도우 탐색기에서는 상단에 전체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편리했는데 왜 파인더에서는 그런 기능이 없을까 하고 찾던 중에 발견한 팁입니다. (OS X에도 역시 없을리가 없었다는.. ^^)
물론, 유료 프로그램 중에 Path Finder 같은, 기능이 훌륭한 유틸이 있기는 하지만요.. ^^;
터미널을 여시고,
하신 후에,
하시면 파인더가 재실행되면서 상단에 제목줄이 전체경로로 바뀌어 나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sudo 명령어를 쓰면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는 겁니다. (root 파인더 설정이 변경되는 것임)
위의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의 권한으로 실행을 하시면 바로 변경된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난 본래의 파인더가 더 좋아.." 하시는 분은 다음 명령어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데, 안되셨으면 어떡하죠? 날씨도 더운데.. ㅋ
P.S 더운 날씨에 건강조심하세요.
Mac 파인더(Finder) 숨김파일 보기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
실행 후 파인더(Finder) 재실행을 하면
숨김파일이 보인다.
반대로 숨김파일을 다시 안 보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한 후 파인더(Finder) 재시작
defaults write com.apple.Finder AppleShowAllFiles YES
실행 후 파인더(Finder) 재실행을 하면
숨김파일이 보인다.
반대로 숨김파일을 다시 안 보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한 후 파인더(Finder) 재시작
defaults write com.apple.Finder AppleShowAllFiles NO
2011년 4월 5일 화요일
2011년 3월 27일 일요일
VMware
http://qkrtmdqo2003.blog.me/150103807325
VMware-workstation-full-7.1.4-385536.exe
GZ3NK-63W8J-488YZ-QYM5T-X68ZA
VMware-workstation-full-7.1.4-385536.exe
GZ3NK-63W8J-488YZ-QYM5T-X68ZA
2011년 3월 21일 월요일
paragon harddisk manager 2010 pro
http://youngsam.kr/attachment/1191127561.rar
PARAGON HARD DISK MANAGER 2010 PRO SUITE x64
http://thepiratebay.org/torrent/5474557/PARAGON_HARD_DISK_MANAGER_2010_PRO_SUITE_x64_[thethingy]
PARAGON HARD DISK MANAGER 2010 PRO SUITE x64
http://thepiratebay.org/torrent/5474557/PARAGON_HARD_DISK_MANAGER_2010_PRO_SUITE_x64_[thethingy]
2011년 3월 20일 일요일
2011년 3월 6일 일요일
2011년 2월 17일 목요일
피드 구독하기:
덧글 (Atom)
